피에트로 메타스타시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피에트로 메타스타시오는 1698년 로마에서 태어나 1782년 빈에서 사망한 이탈리아의 시인이다. 즉흥시를 읊는 재능으로 인정받아 교육을 받고 유산을 상속받았으며, 1720년 나폴리로 이주하여 오페라 대본 작가로 성공했다. 1730년 오스트리아 빈 궁정 시인으로 임명되어 활동하며 다수의 오페라와 오라토리오, 칸타타 등을 제작했다. 그의 작품은 18세기 오페라 세리아의 정수로 평가받았으나, 비르투오소적인 가창보다 심리적인 면을 강조하는 오페라가 유행하면서 점차 잊혀졌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오스트리아에 거주한 이탈리아인 - 안토니오 비발디
안토니오 비발디는 바로크 시대 이탈리아의 작곡가이자 바이올리니스트로, 베네치아 피에타 고아원에서 다수의 작품을 작곡했으며, 바이올린 협주곡 《사계》로 널리 알려져 바로크 및 후대 음악에 큰 영향을 미쳤으나 말년에 빈곤 속에서 사망 후 20세기에 재평가되었다. - 오스트리아에 거주한 이탈리아인 - 주세페 사라가트
이탈리아의 사회민주주의 정치인 주세페 사라가트는 이탈리아 민주사회당을 창당하고 외무장관을 지낸 후, 1964년 중도좌파 진영 최초로 이탈리아 대통령에 당선되어 1971년까지 재임했다. - 볼프강 아마데우스 모차르트 - 요제프 2세
요제프 2세는 계몽주의 영향을 받아 종교적 관용, 농노 해방, 교육 개혁 등 여러 개혁을 추진했으나 저항에 직면했고, 그의 개혁 이념인 요제프주의는 이후 오스트리아 개혁 운동에 영향을 주었다. - 볼프강 아마데우스 모차르트 - 로렌초 다 폰테
로렌초 다 폰테는 베네치아 출신의 오페라 대본 작가이자 시인으로, 모차르트와 함께 《피가로의 결혼》, 《돈 조반니》, 《코지 판 투테》 등 유명 오페라 대본을 썼으며, 미국 컬럼비아 대학교의 초대 이탈리아 문학 교수를 지내며 미국에 이탈리아 오페라를 소개하는 데 기여했다. - 1698년 출생 - 콜린 매클로린
콜린 매클로린은 스코틀랜드의 수학자로, 테일러 급수를 활용하고 오일러-매클로린 공식을 발견하는 등 수학 분야에 기여했으며, 저서로 《플럭시온 논문》 등이 있다. - 1698년 출생 - 피에르 루이 모페르튀이
피에르 루이 모페르튀이는 프랑스의 수학자, 천문학자, 생물학자, 철학자로서, 지구 형태 논쟁에서 뉴턴의 주장을 옹호하고 최소 작용의 원리를 제안했으며 진화론적 사고의 선구자로서 프로이센 과학 아카데미 회장을 역임했다.
피에트로 메타스타시오 - [인물]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 | |
본명 | 피에트로 안토니오 도메니코 트라파시 |
출생일 | 1698년 1월 3일 |
출생지 | 교황령 로마 |
사망일 | 1782년 4월 12일 (향년 84세) |
사망지 | 신성 로마 제국 빈 |
직업 | 작가 시인 |
사조 | 로코코 문학 |
기타 정보 | |
필명 | 피에트로 메타스타시오 |
2. 생애
로마에서 태어난 메타스타시오는 그라비나에게 라틴어와 법학 등을 배우며 성장했다. 1720년 나폴리로 이주하여 법률가 사무실에서 일하면서도 창작 활동을 병행, 1721년 결혼 축가와 세레나데 ''엔디미오네''를 작곡했고, 1722년 엘리자베스 크리스틴 황후의 생일 기념 세레나타 ''글리 오르티 에스페리디''로 성공을 거두었다. 이 작품의 비너스 역을 맡았던 마리아나 불가렐리의 후원으로 극작가의 길을 걸으며 요한 아돌프 하세, 조반니 바티스타 페르골레시 등 당대 최고의 작곡가들과 교류했다. 1730년 오스트리아 궁정 시인으로 초빙되어 빈으로 이주, 안토니오 칼다라와 함께 작업했으며, 이후 요한 아돌프 하세와 〈아틸리오 레골로〉(1750) 등 62편의 멜로드라마를 썼다. 그의 작품은 경쾌한 가락과 쉬운 대사로 대중적 인기를 얻었으나, 크리스토프 빌리발트 글루크와 볼프강 아마데우스 모차르트의 오페라가 등장하면서 점차 잊혀졌다.
2. 1. 초기 생애 (1698-1718)
메타스타시오는 1698년 1월 3일 로마에서 태어났다. 그의 아버지 펠리체 트라파시는 아시시 출신으로 교황군 코르시카 연대에서 복무했으며, 어머니 프란체스카 갈라스티는 볼로냐 출신이었다. 이들은 로마의 '비아 데이 카펠라리'(모자 상점 거리)에서 식료품점을 운영했으며, 슬하에 2남 2녀를 두었는데 메타스타시오는 막내아들이었다.[1]어린 시절부터 메타스타시오는 주어진 주제에 대해 즉흥시를 읊어 사람들을 끌어모으는 재능을 보였다.[1] 1709년 어느 날, 저명한 법학자이자 문학자이며 아르카디아 아카데미의 원장이었던 지오반니 빈첸초 그라비나와 비평가 로렌치니가 그의 시를 듣게 되었다.[1] 그라비나는 메타스타시오의 재능과 매력에 매료되어 그를 자신의 제자로 삼고, 몇 주 안에 입양했다.[1] 펠리체 트라파시는 아들에게 좋은 교육과 사회 진출의 기회를 줄 수 있게 되어 기뻐했다.[1]
그라비나는 메타스타시오의 성을 트라파시에서 그리스어식인 메타스타시오로 바꾸었다.[1] 그는 메타스타시오가 자신처럼 법학자가 되기를 바라며 라틴어와 법학을 가르쳤다.[1] 동시에 그의 문학적 재능을 키우고, 자신의 집과 로마의 문인 사회에서 젊은 신동을 선보였다.[1] 메타스타시오는 곧 이탈리아에서 가장 유명한 즉흥 시인들과 경쟁하게 되었으나, 학업과 즉흥시 낭송으로 건강을 해치게 되었다.[1]
그라비나는 칼라브리아로 출장을 가면서 나폴리의 문학계에 메타스타시오를 소개했고, 그 후 스칼레아에서 그의 친척 그레고리오 카로프레세의 보살핌을 받도록 했다.[1] 메타스타시오는 시골 공기와 남쪽 해안의 고요함 속에서 건강을 회복했다.[1] 그라비나는 그가 다시는 즉흥시를 짓지 말고, 교육을 마치고 가장 위대한 시인들과 경쟁할 수 있을 때 더 고귀한 노력을 위해 남겨두어야 한다고 결정했다.[1]
메타스타시오는 후원자의 바람에 따랐다.[1] 12세에 일리아스를 8행 연으로 번역했고, 2년 후에는 잔 조르조 트리시노의 ''이탈리아 리베라타''에서 주제를 따온 세네카식 비극 ''지우스티노''를 작곡하여 1713년에 출판했다.[1] 42년 후, 메타스타시오는 그의 출판업자에게 이 청소년 작품을 기꺼이 없애고 싶다고 말했다.[1]
카로프레세는 1714년에 사망하여 그라비나에게 상속했고,[1] 1718년에는 그라비나도 사망했다.[1] 메타스타시오는 15,000 스쿠디의 재산을 상속받았다.[1] 아르카디아 아카데미 회의에서 그는 후원자에 대한 비가를 낭송했다.[1]
2. 2. 로마에서의 명성 (1718-1730)
로마에서 태어난 메타스타시오는 20세에 로마에서 성공하기 위해 하위 성직 서품을 받고 아베 복장을 했다.[1] 빼어난 외모, 매력적인 태도, 뛰어난 재능으로 유명해졌으나, 2년 만에 상속받은 재산을 모두 탕진했다.[1] 생계를 위해 변호사 사무실에서 일했지만, 1721년 후원자의 결혼을 기념하여 축혼가와 세레나데 ''엔디미오네''를 작곡하면서 다시 창작 활동을 시작했다.[1]1722년, 엘리자베스 크리스틴 황후의 생일을 기념하는 세레나타 ''글리 오르티 에스페리디''를 작곡하여 큰 성공을 거두었다.[1] 이 작품에서 비너스 역을 맡았던 프리마 돈나 마리아나 불가렐리의 후원을 받으며 법률가의 길을 포기하고 본격적으로 극작가의 길을 걷게 되었다.[1]
불가렐리의 집에서 메타스타시오는 요한 아돌프 하세, 조반니 바티스타 페르골레시, 알레산드로 스카를라티, 레오나르도 빈치, 레오나르도 레오, 프란체스코 두란테, 베네데토 마르첼로 등 당대 최고의 작곡가들과 교류하며 음악적 지식을 쌓았다.[1] 또한, 파리넬리와 같은 유명 가수들의 스타일을 연구하며 오페라 대본 작가로서의 역량을 키웠다.[1]
불가렐리의 전폭적인 지원 아래 메타스타시오는 ''디도네 아반도나타'', ''카토네 인 우티카'', ''에치오'', ''인도의 알렉산드로스'', ''세미라미데 리코노시우타'', ''시로에'', ''아르타세르세'' 등 대표작들을 연이어 발표하며 명성을 떨쳤다.[1]
2. 3. 빈 궁정 시인 시절 (1730-1782)
1730년 초여름, 메타스타시오는 빈의 이른바 '미켈러하우스' 아파트에 정착하며 궁정 시인으로서의 삶을 시작했다. 이 시기부터 1740년까지 그는 ''아드리아노 인 시리아'', ''데메트리오'', ''이시필레'', ''데모폰테'', ''올림피아데'', ''티토의 자비'', ''아킬레 인 시로'', ''테미스토클레스'', ''아틸리오 레골로'' 등 주옥같은 작품들을 발표했다.[1] 이 작품들은 대부분 안토니오 칼다라의 작곡으로 황실 극장에서 공연되었다. 특히 ''아킬레 인 시로''는 18일, ''이페르메스트라''는 9일 만에 완성될 정도로 놀라운 창작 속도를 보여주었다.[1] 대본 작가, 작곡가, 악보 필사자, 가수가 모두 함께 정신없이 작업한 결과였다.메타스타시오의 대본 ''아드리아노 인 시리아''는 안토니오 칼다라(1732), 조반니 바티스타 페르골레시(1734), 프란체스코 마리아 베라치니(1735), 발다사레 갈루피(1740), 칼 하인리히 그라운(1746), 요한 아돌프 하세(1752), 요한 크리스티안 바흐(1765), 루이지 케루비니(1782) 등 18세기와 19세기 초 60명이 넘는 작곡가들에 의해 사용되었다.
그러나 빈의 귀족 사회는 평민 출신인 메타스타시오를 배척했다. 그는 옛 후원자였던 벨몬테 피냐텔리 공주의 시누이인 Marianna Pignatelli, contessa di Althann|마리안나 피냐텔리, 알트한 백작 부인it과 깊은 관계를 맺으며 이러한 상황을 이겨냈다. 백작 부인은 남편을 잃고 황제의 총애를 받던 인물이었으며, 메타스타시오와의 관계는 사적인 결혼을 의심받을 정도로 가까웠다.
1736년 칼다라가 사망하고, 메타스타시오는 한동안 창작 의욕을 잃었다. 이 시기에는 칸타타와 그의 친구 파리넬리에게 보낸 칸초네타 ''Ecco quel fiero istante'' 정도만이 가장 인기 있는 작품으로 꼽힌다. 1743년부터 요한 아돌프 하세를 위하여 6편의 오페라를 썻다.
1755년 알트한 백작 부인이 사망한 후, 메타스타시오는 니콜로 마르티네스의 집에서 여생을 보냈다.[1] 그는 하이든과 그의 은사 니콜라 포르포라도 살고 있었던, 빈의 Kohlmarkt_(Wien)|콜마르크de에 있는 마르티네스 가족의 집으로 이사하여, 중산층 시민들과 함께 살았다.
1782년 4월 12일, 메타스타시오는 84세의 나이로 사망했다. 그는 약 130000플로린에 달하는 전 재산을 마르티네스 가문의 여섯 자녀에게 상속했다.[1]
3. 작품
메타스타시오는 수십 편의 오페라 대본을 썼으며, 그의 작품은 18세기 오페라 세리아의 정수로 여겨진다.
제목 | 초연 작곡가 및 연도 | 비고 |
---|---|---|
누미디아의 왕 시파체 (Siface, re di Numidia) | 프란체스코 페오(Francesco Feo) (1723) | 기존 대본 각색 |
디도네 아반도나타 (Didone abbandonata) | 도메니코 사로(Domenico Sarro) (1724) | 최초의 오리지널 대본, 50개 이상 작곡 |
카나리아 제도 출신 연예 기획자 (L'impresario delle Isole Canarie) | 도메니코 사로(Domenico Sarro) (1724) | |
페르시아의 왕 시로에 (Siroe rè di Persia) | 레오나르도 빈치(Leonardo Vinci) (1726) | |
우티카의 카토네 (Catone in Utica) | 레오나르도 빈치(Leonardo Vinci) (1728) | |
에치오 (Ezio) | 피에트로 아울레타(Pietro Auletta) (1728) | 장 라신의 비극 『브리타니쿠스』에서 영감[5] |
인도의 알렉산드로스 (Alessandro nell'Indie) | 레오나르도 빈치(Leonardo Vinci) (1729) | 기원전 326년 알렉산드로스 대왕과 포로스의 이야기 |
세미라미데 리코노슈타 (Semiramide riconosciuta) | 레오나르도 빈치(Leonardo Vinci) (1729) | |
아르타세르세 (Artaserse) | 레오나르도 빈치(Leonardo Vinci) (1730) | 아르타크세르크세스 1세가 주인공 |
데메트리오 (Demetrio) | 안토니오 칼다라(Antonio Caldara) (1731) | |
시리아의 아드리아노 (Adriano in Siria) | 안토니오 칼다라(Antonio Caldara) (1732) | |
이십필레 (Issipile) | 프란체스코 바르톨로메오 콘티(Francesco Bartolomeo Conti) (1732) | |
데모폰테 (Demofoonte) | 안토니오 칼다라(Antonio Caldara) (1733) | |
올림피아데 (L'Olimpiade) | 안토니오 칼다라(Antonio Caldara) (1733) | 올림픽이 무대인 러브 스토리, 60개 이상 작곡 |
티토의 자비 (La clemenza di Tito) | 안토니오 칼다라(Antonio Caldara) (1734) | 베레니케와 로마 황제티토의 사랑, 40개 이상 작곡 |
스키로의 아킬레 (Achille in Sciro) | 안토니오 칼다라(Antonio Caldara) (1736) | |
키로 리코노슈토 (Ciro riconosciuto) | 안토니오 칼다라(Antonio Caldara) (1736) | |
테미스토클레 (Temistocle) | 안토니오 칼다라(Antonio Caldara) (1736) | |
제노비아 (Zenobia) | 루카 안토니오 프레디에리(Luca Antonio Predieri) (1740) | |
안티고노스 (Antigono) | 요한 아돌프 하세(Johann Adolph Hasse) (1743) | |
이페르메스트라 (Ipermestra) | 요한 아돌프 하세(Johann Adolph Hasse) (1744) | |
아틸리오 레골로 (Attilio Regolo) | 요한 아돌프 하세(Johann Adolph Hasse) (1750) | |
일 레 파스토레 (Il re pastore) | 주세페 본노(Giuseppe Bonno) (1751) | |
중국의 영웅 (L'eroe cinese) | 주세페 본노(Giuseppe Bonno) (1752) | |
니테티 (Nitteti) | 니콜라 콘포르토(Nicola Conforto) (1756) | |
클레리아의 승리 (Il trionfo di Clelia) | 요한 아돌프 하세(Johann Adolph Hasse) (1762) | |
로몰로 에르실리아 (Romolo ed Ersilia) | 요한 아돌프 하세(Johann Adolph Hasse) (1765) | |
루기에로 (Ruggiero) | 요한 아돌프 하세(Johann Adolph Hasse) (1771) | 메타스타시오 마지막 오페라 세리아 대본 |
헤스페리데스 정원(Gli orti esperidi) | 니콜라 포르포라(1721) | |
신들의 싸움(La Contesa dei numi) | 레오나르도 빈치(1729) |
그의 작품은 경쾌한 가락과 쉽고 밝은 대사로 대중적인 인기를 얻었지만, 깊이나 강한 감동은 부족하다는 평가를 받았다. 독일 풍의 오케스트라가 발전하고 새로운 오페라 대본이 등장하면서 그의 작품은 점차 잊혀졌다.
그는 오페라 외에도, 니콜라 포르포라의 〈안젤리카〉(1720), 안토니오 칼다라의 〈레 치네시〉(1735), 요한 아돌프 하세의 〈알치데 알 비비오〉(1760)·〈에제리아〉(1764)·〈파르테노페〉(1767) 등 기타 무대 작품과 종교적인 주제를 다룬 오라토리오 작품도 다수 남겼다.[5]
제목 | 초연 연도 | 작곡가 |
---|---|---|
유스티노 | 1712 | |
안젤리카 | 1720 | 니콜라 포르포라 |
엔디미오네 | 1721 | |
글리 오르티 에스페르디 | 1721 | |
라 갈라테아 | 1722 | |
'라 콘테사 데 누미'' | 1729 | |
일 템피오 델 에테르니타 | 1731 | |
아모르 프리조니에로 | 1732 | |
라실로 다모레 | 1732 | |
일 팔라디오 콘세르바토 | 1735 | |
일 소뇨 디 스키피오네 | 1735 | |
레 치네시 | 1735 | 안토니오 칼다라 |
레 그라지에 벤디카테 | 1735 | |
일 파르나소 아쿠사토 에 디페소 | 1738 | |
라 파체 프라 라 비르투 에 라 벨레차 | 1738 | |
아스트레아 플라카타 | 1739 | |
일 나탈 디 조베 | 1740 | |
일 베로 오마지오 | 1743 | |
아우구리오 디 펠리치타 | 1749 | |
라 리스페토사 테네레차 | 1750 | |
라솔라 디사비타타 | 1753 | |
트리부토 디 리스페토 에 다모레 | 1754 | |
라 가라 | 1755 | |
일 소뇨 | 1756 | |
라 리트로시아 디사르마타 | 1759 | |
알치데 알 비비오 | 1760 | 요한 아돌프 하세 |
라테나이데 (글리 아페티 제네로시) | 1762 | |
에제리아 | 1764 | 요한 아돌프 하세 |
일 파르나소 콘푸소 | 1765 | |
일 트리온포 다모레 | 1765 | |
라 코로라 | 1765 | |
라 파체 프라 레 트레 디 | 1765 | |
파르테노페 | 1767 | 요한 아돌프 하세 |
라페 | 미상 |
오라토리오 | 초연 연도 | 작곡가 |
---|---|---|
예수 그리스도의 수난 | 1730 | 안토니오 칼다라 |
갈바리아의 성 헬레나 | 1731 | 레오나르도 레오 |
아벨의 죽음 | 1732 | 안토니오 칼다라 |
인정받은 요셉 | 1733 | |
베툴리아의 해방 | 1734 | 요한 게오르크 로이터 |
유다 왕 요아스 | 1735 | 요한 게오르크 로이터 |
이삭, 구세주의 모습 | 1740 |
특히, 예수 그리스도의 수난을 그린 오라토리오 ''예수 그리스도의 수난''은 초연 이후 1812년까지 50명의 작곡가가 곡을 붙인 수난곡의 대표작이다.[5] ''구원받은 베툴리아''(유딧기)는 게오르크 로이터 2세(초연, 1734년) 등이, ''유다의 왕 조아스''(유다 왕 요아스)는 게오르크 로이터 2세(초연, 1735년) 등이 작곡했다.
로마에서 태어난 메타스타시오는 소규모 성악곡인 칸타타와 칸초네타도 다수 작곡했다.
칸타타 |
---|
칸초네타 |
---|
그 밖에도 9개의 칭찬, 33개의 음악용 연, 32개의 소네트, 4개의 성스러운 시, 수많은 아리아 가사를 남겼다.[5]
3. 1. 오페라
메타스타시오는 수십 편의 오페라 대본을 썼으며, 그의 작품은 18세기 오페라 세리아의 정수로 여겨진다.제목 | 초연 작곡가 및 연도 | 비고 |
---|---|---|
누미디아의 왕 시파체 (Siface, re di Numidia) | 프란체스코 페오(Francesco Feo) (1723) | 기존 대본 각색 |
디도네 아반도나타 (Didone abbandonata) | 도메니코 사로(Domenico Sarro) (1724) | 최초의 오리지널 대본, 50개 이상 작곡 |
카나리아 제도 출신 연예 기획자 (L'impresario delle Isole Canarie) | 도메니코 사로(Domenico Sarro) (1724) | |
페르시아의 왕 시로에 (Siroe rè di Persia) | 레오나르도 빈치(Leonardo Vinci) (1726) | |
우티카의 카토네 (Catone in Utica) | 레오나르도 빈치(Leonardo Vinci) (1728) | |
에치오 (Ezio) | 피에트로 아울레타(Pietro Auletta) (1728) | 장 라신의 비극 『브리타니쿠스』에서 영감[5] |
인도의 알렉산드로스 (Alessandro nell'Indie) | 레오나르도 빈치(Leonardo Vinci) (1729) | 기원전 326년 알렉산드로스 대왕과 포로스의 이야기 |
세미라미데 리코노슈타 (Semiramide riconosciuta) | 레오나르도 빈치(Leonardo Vinci) (1729) | |
아르타세르세 (Artaserse) | 레오나르도 빈치(Leonardo Vinci) (1730) | 아르타크세르크세스 1세가 주인공 |
데메트리오 (Demetrio) | 안토니오 칼다라(Antonio Caldara) (1731) | |
시리아의 아드리아노 (Adriano in Siria) | 안토니오 칼다라(Antonio Caldara) (1732) | |
이십필레 (Issipile) | 프란체스코 바르톨로메오 콘티(Francesco Bartolomeo Conti) (1732) | |
데모폰테 (Demofoonte) | 안토니오 칼다라(Antonio Caldara) (1733) | |
올림피아데 (L'Olimpiade) | 안토니오 칼다라(Antonio Caldara) (1733) | 올림픽이 무대인 러브 스토리, 60개 이상 작곡 |
티토의 자비 (La clemenza di Tito) | 안토니오 칼다라(Antonio Caldara) (1734) | 베레니케와 로마 황제티토의 사랑, 40개 이상 작곡 |
스키로의 아킬레 (Achille in Sciro) | 안토니오 칼다라(Antonio Caldara) (1736) | |
키로 리코노슈토 (Ciro riconosciuto) | 안토니오 칼다라(Antonio Caldara) (1736) | |
테미스토클레 (Temistocle) | 안토니오 칼다라(Antonio Caldara) (1736) | |
제노비아 (Zenobia) | 루카 안토니오 프레디에리(Luca Antonio Predieri) (1740) | |
안티고노스 (Antigono) | 요한 아돌프 하세(Johann Adolph Hasse) (1743) | |
이페르메스트라 (Ipermestra) | 요한 아돌프 하세(Johann Adolph Hasse) (1744) | |
아틸리오 레골로 (Attilio Regolo) | 요한 아돌프 하세(Johann Adolph Hasse) (1750) | |
일 레 파스토레 (Il re pastore) | 주세페 본노(Giuseppe Bonno) (1751) | |
중국의 영웅 (L'eroe cinese) | 주세페 본노(Giuseppe Bonno) (1752) | |
니테티 (Nitteti) | 니콜라 콘포르토(Nicola Conforto) (1756) | |
클레리아의 승리 (Il trionfo di Clelia) | 요한 아돌프 하세(Johann Adolph Hasse) (1762) | |
로몰로 에르실리아 (Romolo ed Ersilia) | 요한 아돌프 하세(Johann Adolph Hasse) (1765) | |
루기에로 (Ruggiero) | 요한 아돌프 하세(Johann Adolph Hasse) (1771) | 메타스타시오 마지막 오페라 세리아 대본 |
헤스페리데스 정원(Gli orti esperidi) | 니콜라 포르포라(1721) | |
신들의 싸움(La Contesa dei numi) | 레오나르도 빈치(1729) |
그의 작품은 경쾌한 가락과 쉽고 밝은 대사로 대중적인 인기를 얻었지만, 깊이나 강한 감동은 부족하다는 평가를 받았다. 독일 풍의 오케스트라가 발전하고 새로운 오페라 대본이 등장하면서 그의 작품은 점차 잊혀졌다.
3. 2. 기타 무대 작품
니콜라 포르포라의 〈안젤리카〉(1720), 안토니오 칼다라의 〈레 치네시〉(1735), 요한 아돌프 하세의 〈알치데 알 비비오〉(1760), 〈에제리아〉(1764), 〈파르테노페〉(1767) 등이 있다.[5]제목 | 초연 연도 | 작곡가 |
---|---|---|
유스티노 | 1712 | |
안젤리카 | 1720 | 니콜라 포르포라 |
엔디미오네 | 1721 | |
글리 오르티 에스페르디 | 1721 | |
라 갈라테아 | 1722 | |
'라 콘테사 데 누미'' | 1729 | |
일 템피오 델 에테르니타 | 1731 | |
아모르 프리조니에로 | 1732 | |
라실로 다모레 | 1732 | |
일 팔라디오 콘세르바토 | 1735 | |
일 소뇨 디 스키피오네 | 1735 | |
레 치네시 | 1735 | 안토니오 칼다라 |
레 그라지에 벤디카테 | 1735 | |
일 파르나소 아쿠사토 에 디페소 | 1738 | |
라 파체 프라 라 비르투 에 라 벨레차 | 1738 | |
아스트레아 플라카타 | 1739 | |
일 나탈 디 조베 | 1740 | |
일 베로 오마지오 | 1743 | |
아우구리오 디 펠리치타 | 1749 | |
라 리스페토사 테네레차 | 1750 | |
라솔라 디사비타타 | 1753 | |
트리부토 디 리스페토 에 다모레 | 1754 | |
라 가라 | 1755 | |
일 소뇨 | 1756 | |
라 리트로시아 디사르마타 | 1759 | |
알치데 알 비비오 | 1760 | 요한 아돌프 하세 |
라테나이데 (글리 아페티 제네로시) | 1762 | |
에제리아 | 1764 | 요한 아돌프 하세 |
일 파르나소 콘푸소 | 1765 | |
일 트리온포 다모레 | 1765 | |
라 코로라 | 1765 | |
라 파체 프라 레 트레 디 | 1765 | |
파르테노페 | 1767 | 요한 아돌프 하세 |
라페 | 미상 |
3. 3. 오라토리오
메타스타시오는 종교적인 주제를 다룬 오라토리오 작품도 다수 남겼다. 다음은 그가 남긴 오라토리오 작품의 일부이다.제목 | 초연 연도 | 작곡가 |
---|---|---|
예수 그리스도의 수난 | 1730 | 안토니오 칼다라 |
갈바리아의 성 헬레나 | 1731 | 레오나르도 레오 |
아벨의 죽음 | 1732 | 안토니오 칼다라 |
인정받은 요셉 | 1733 | |
베툴리아의 해방 | 1734 | 요한 게오르크 로이터 |
유다 왕 요아스 | 1735 | 요한 게오르크 로이터 |
이삭, 구세주의 모습 | 1740 |
특히, 예수 그리스도의 수난을 그린 오라토리오인 ''예수 그리스도의 수난''은 초연 이후 1812년까지 50명의 작곡가가 곡을 붙인 수난곡의 대표작이다.[5] 안토니오 칼다라(초연, 1730년 4월 3일, 빈 궁정 예배당), 니콜로 요멜리(1749년, 베네치아), 요제프 미슬리베체크(1773년, 피렌체), 안토니오 살리에리(1776년, 빈) 등이 이 작품에 곡을 붙였다.
''구원받은 베툴리아''(유딧기)는 게오르크 로이터 2세(초연, 1734년), 니콜로 요멜리(1743년), 모차르트(1771년), 플로리안 레오폴트 가스만(1772년) 등이 작곡했다.
''유다의 왕 조아스''(유다 왕 요아스)는 게오르크 로이터 2세(초연, 1735년), 니콜로 요멜리(1745년), 루이지 보케리니(1770년?), 요한 크리스티안 바흐(1770년) 등이 작곡했다.
3. 4. 칸타타와 칸초네타
로마에서 태어난 메타스타시오는 소규모 성악곡인 칸타타와 칸초네타도 다수 작곡했다. 다음은 그 목록이다.칸타타 |
---|
칸초네타 |
---|
3. 5. 기타 작품
4. 영향 및 평가
메타스타시오는 18세기 오페라 세리아의 가장 중요한 대본 작가였으며, 그의 작품은 당대 유럽 음악계에 지대한 영향을 미쳤다.[2] 그의 대본은 크리스토프 빌리발트 글루크와 볼프강 아마데우스 모차르트로 대표되는 후기 오페라 개혁 운동에도 영향을 주었으며, 특히 모차르트는 ''티토의 자비''를 위해 메타스타시오의 대본을 개작하여 사용하기도 했다.[2]
메타스타시오의 시는 감정적이고 서정적이며 낭만적인 특징을 지녔고, 음악적 효과를 극대화하는 데 중점을 두었다.[2] 그의 작품은 토르콰토 타소, 지암바티스타 마리노, 조반니 바티스타 구아리니, 오비디우스 등 고전 작가들의 영향을 받았으며,[2] 명확하고 우아한 언어와 극적인 구성이 돋보인다.
빈에서의 40년 동안 메타스타시오의 명성은 흔들림이 없었다.[1] 메타스타시오의 장서에는 자신의 작품 40개 판이 있었고, 프랑스어, 영어, 독일어, 스페인어, 그리스어로 번역되었다.[1] 하나의 대본에 여러 작곡가가 다른 곡을 붙였으며, 모든 수도에서 최고의 비르투오소들이 그의 작품을 노래했다.[1] 빈에 온 사람들은 일부러 콜마르크트 거리에 있는 그의 가숙을 방문하여 이 노 시인에게 경의를 표했다.[1]
그러나 19세기 이후 오케스트라가 발전하고 새로운 오페라 양식이 등장하면서 메타스타시오의 작품은 점차 잊혀졌다. 비르투오소적인 가창보다 심리적인 면에 더 중점을 둔 오페라가 유행하고, 카스트라토가 사라지면서 그의 오페라는 레퍼토리에서 사라지게 되었다.[2]
참조
[1]
서적
Mozart: A Documentary Biography
https://books.google[...]
Stanford University Press
1966-06-01
[2]
웹사이트
Georgine Schubert Song Texts {{!}} LiederNet
https://www.lieder.n[...]
2023-01-30
[3]
웹사이트
List of the works of Pietro Metastasio
http://publish.uwo.c[...]
[4]
웹사이트
Complete libretto in Italian
http://www.letteratu[...]
[5]
간행물
Handel, Metastasio, Racine: The Case of Ezio
The Musical Times
1977-11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